뉴스/칼럼

계양~부천대장 S-BRT, 2026년 개통…전국7곳 BRT 뚫린다  
  • 자료출처 : 국토교통부
  • 날짜 : 2021.01.18
  • 조회수 : 1250
  • 댓글 0
  • 프린트 아이콘



3기 신도시가 들어서는 인천계양~부천대장지구에서 부천종합운동장~대장지구~계양지구~김포공항역까지 16.7km 구간에 S-BRT가 구축된다. 이 노선은 20263기 신도시 입주계획에 맞춰 개통할 계획이다.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는 인천, 부천, 성남 등 수도권을 비롯하여 부산, 창원, 세종, 대전 등 전국 7개 주요 도시에 도로 위의 지하철인 간선급행버스체계(BRT)를 구축하고 있다고 밝혔다.

 

간선급행버스체계(BRT, Bus Rapid Transit)는 버스운행에 철도시스템의 특장점을 도입하여 통행속도, 정시성, 수송능력 등 버스 서비스를 도시철도 수준으로 대폭 향상시킨 대중교통시스템으로, 전용주행로, 전용교차로, 정류소 등 체계적인 시설과 전용차량을 갖추고 운영하고 있으며, 현재 인천(청라-강서 구간, 시범운영) 및 세종, 부산에서 운영하고 있다.

 

대광위에서는 ‘201BRT구축을 통한 대중교통시스템 확대를 위해 각 지자체로부터 S-BRT 사업 신청을 받아 인천계양부천대장, 인천·성남·창원 BRT 및 세종 BRT 5개 사업을 S-BRT 시범사업으로 선정하였고, 부산에서 2, 대전에서 1개의 BRT 사업을 각각 추진하고 있다.

 

# 인천계양-부천대장 S-BRT= 3기 신도시가 들어서는 인천계양부천대장지구는 부천종합운동장대장지구계양지구김포공항역까지 16.7km 구간에 S-BRT가 구축된다. 이 노선은 ‘263기 신도시 입주계획에 맞추어 개통할 계획이다.

 

# 인천 S-BRT= 인천시에는 인하대루원시티사거리 9.4km 구간에도 S-BRT가 구축된다. 이 구간은 올해부터 ’22년까지 개발계획을 수립하는 등 사업추진절차를 거쳐 ‘26년 개통을 목표로 추진한다.

 

# 성남 S-BRT= 성남시에는 남한산성 입구복정역사거리까지 총 10.2km 구간에 S-BRT가 구축된다. 주요 경유지는 남한산성단대오거리모란역사거리복정역사거리로 이 중 단대오거리모란역사거리(L=2.8km)를 우선 공사할 계획으로 올해이후 개발계획 수립 등 절차를 거쳐 ’25년 개통을 목표로 추진된다.

 

# 부산 BRT= 부산시는 ‘19년 개통한 기존 BRT(서면내성, 내성중동)와 연계하여 서면사상, 서면충무 2BRT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부산시에서 BRT 사업을 확대 추진하는 것은, 지난해 서면내성, 내성중동 등 16.3km 구간의 BRT 개통으로 버스의 평균 통행시간이 19% 가량 단축되었으며, 통행속도는 평균 23% 가량 빨라지는 등 시민들이 그 효과를 체감하고 있기 때문이다.

 

부산시 관계자는 “BRT 이용자의 만족도가 72%로 높았으며, 사업 후 도로변 주정차 감소 등으로 통행속도가 동반 상승한 승용차 이용자들의 52.6%BRT 개통에 만족감을 나타냈다면서, “이미 개통한 사업에서 경험한 BRT 효과로 인해 현재 설계 중인 서면사상 5.4km와 착공 중인 서면충무 7.9km 2BRT 사업도 정상적인 추진에는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 창원 S-BRT= 최근 인구 100만 명 이상의 특례시로 지정된 창원시에도 원이대로 일대 가음정사거리도계광장육호광장에 이르는 18.0km 구간에 창원 S-BRT가 구축된다.

 

지난 ‘20.12월 개발계획 고시를 기점으로 가음정사거리도계광장을 잇는 9.3km 구간을 우선 구축하며 ’23년 개통을 목표로 추진한다.

 

# 세종 BRT 고급화= 세종시는 세종시 순환구간에 BRT 고급화 사업을 추진 중으로 첨단 BRT 정류장 설치, 최대 84인승 전기굴절버스 도입, BRT 우선신호 도입 등을 내용으로 하여 ‘22년 사업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 대전 반석역~유성복합터미널= 대전시는 반석역유성복합터미널까지 6.6km구간에 BRT 사업을 추진 중이며, ‘22년 개통할 계획이다.

 

BRT 사업비 경우, 3기 신도시와 같이 광역교통개선대책으로 시행하는 BRTLH 등 사업시행자가 부담하고, 서로 다른 광역지자체의 도시를 연결하는 광역 BRT는 국가가 사업비의 50%를 보조하며, 그 외 도심 BRT 중 수도권 지역은 25%, 수도권 외 지역은 국가가 50%를 보조한다.

 

국토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최기주 위원장은 도시 내 도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승용차와 대중교통시스템인 BRT를 분리하여 BRT 전용주행로를 설치하고 친환경 전기굴절버스 등 고급 교통수단을 제공하면 대중교통 활성화와 함께 환경문제도 해결하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누릴 수 있다면서 “BRT는 통행속도 및 정시성 확보 등 도시철도에 준하는 서비스를 제공함에도 건설비는 지하철의 1/10 이하, 운영비는 1/7에 불과하여 가성비가 높은 대중교통수단이므로 수도권을 포함, 전국 주요도시에 지속적으로 BRT 사업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댓글0 내댓글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