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칼럼

우리나라 도시지역 16.7%…인구 91.8%가 거주
  • 자료출처 : 국토교통부
  • 날짜 : 2020.07.20
  • 조회수 : 732
  • 댓글 0
  • 프린트 아이콘

 


우리나라 국토를 용도지역으로 분류했을 때 16.7%는 도시지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작년 기준 도시지역의 인구와 면적 등 현황이 수록된 ‘2019년 도시계획현황 통계20일 발표했다.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국토계획법)에 따라 용도지역으로 지정된 우리나라 국토 면적은 106,210이며, 그 중 도시지역이 17,763로 전체 면적의 약 16.7%를 차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주민등록 상 총인구 5,185만 명 중 4,759만 명이 도시지역(91.8%)에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용도지역은 토지를 경제적·효율적으로 이용하고 공공복리의 증진을 도모하기 위하여 서로 중복되지 아니하게 도시관리계획으로 결정하는 지역으로 도시지역, 관리지역, 농림지역 및 자연환경보전지역으로 세분된다.

 

도시지역 17,763(16.7%), 관리지역 27,260(25.7%), 농림지역 49,301(46.4%), 자연환경보전지역 11,885(11.2%)로 전체 면적은 106,210로 조사되었다.

 

도시지역은 다시 주거지역 2,701(15.2%), 상업지역 338(1.9%), 공업지역 1,219(6.9%), 녹지지역 12,632(71.1%), 미지정 지역 874(4.9%)로 나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용도지역 지정 면적의 전년(2018) 대비 증·감 현황을 살펴보면, 도시지역의 경우 주거지역(16.8), 상업지역(3.4), 공업지역(20.7), 녹지지역(3.4)이 모두 소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도시지역은 관리지역(38.0)은 증가한 반면 농림지역은 49.7, 자연환경보전지역은 38.2감소하였으며, 이는 도시·군관리계획 재정비에 따른 변동으로 파악되었다.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인구는 4,7596,532명으로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91.80%가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발행위허가는 전년(305,214)보다 14.4% 감소한 261,203(2,103)으로, ‘건축물의 건축157,452(60.3%)으로 가장 많고 토지형질변경’ 68,389(26.2%), ‘토지분할’ 24,536(9.4%), ‘공작물의 설치’ 9,646(3.7%), ‘물건적치’ 858(0.3%), ‘토석채취’ 322(0.1%) 순으로 나타났다.

 

·도별로는 경기도가 66,302(260.4)로 가장 많고, 전남 26,632(212.4), 경북 25,847(317.8) 순으로 파악되었다.

 

··구별로 살펴보면 경기도 화성시가 1862(37.9), 남양주6,662(16.3), 강화군 5,642(9.5), 양평군 5,193(18.9) 순으로 개발행위허가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군계획시설로 결정된 면적은 총 7,029.8로 교통시설(2,288.8)이 가장 많고, 방재시설(1,874.2), 공간시설(1,449.6), 공공문화체육시설(1,012.4), 유통 및 공급시설(246.2), 환경기초시설(109.2), 보건위생시설(49.3) 순으로 확인되었다.

 

도시·군계획시설 중 집행 면적은 6,015.2(85.6%), 미집행은 1,014.6(14.4%) 이며, 미집행 시설은 공원이 405.7로 가장 많았으며, 도로(290.4), 하천(86.4), 체육시설(54.5) 순으로 확인됐다.

 

지역별로는 경기도가 186.5으로 가장 많고, 경북(132.8), 경남(113.0), 전남(79.4), 강원(73.6), 서울(62.3) 순으로 확인되었다.

 

매년 전국 지방자치단체를 통해 작성되는 도시계획 현황 통계는 도시정책 및 도시계획 수립, 지방교부세 산정 근거자료, 지역개발계획 구상 등의 정책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통계 상세 자료는 인터넷 도시계획정보서비스(http://www.upis.go.kr), 통계청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통계누리(https://stat.molit.go.kr) e-나라지표(http://www.index.go.kr) 등을 통해 조회할 수 있다.

 

 

댓글0 내댓글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