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 최병엽 대표 / 이오플래닝
날짜 : 2025-11-17
조회수 : 32
건설 및 부동산 업계 C-level의 눈높이에서 필요할만한 내용을 중심으로 발췌·요약하여, 제 선배님, 업계 지인분, 찐팬 등께 발송해 드리는, 지극히 사적(私的)인 주간지입니다.
바빠서 놓쳤던 업계 동향이나, 의사결정에 필요한 작은 정보라도 본지에서 얻게 되시길 바랍니다.
■ 대·내외 시장 환경 (※ 거시경제·정책·사회·인문환경 중심)
• 경제지표(2025년11월14일 기준)
_ 환율(매매기준율) : USD 1,455원, EUR 1,691원, CNY 204원, JPY(100엔) 941원
_ 증시 : KOSPI 4,011, KOSPI200 563, KOSDAQ 897
DOW 47,147, NASDAQ 22,990, 중국상해 3,990, NIKKEI 50,376
_ 기타 : CD(91일) 2.72%, 국고채(3년) 2.94%, 회사채(3년) 3.36%, BTC 144,675,000원
• 2025년 국내 시멘트 내수 물량이 3,650만톤에 그칠 것으로 전망.. 전년 대비 16.5% 감소 및 1991년 3,711만톤 이후 최저 수준 @한국시멘트협회
_ 업계 총 생산능력 6,100만톤 중 가동률 60% 수준.. 2026년에도 내수 부진 지속 전망
• 정부는 AI 핵심 인재를 조기 육성하기 위해 학·석·박사 과정을 5년만에 완료할 수 있는 과정을 만들고, 초·중·고교의 AI 과목을 확대(초·중교 0.9조원, 고교 0.5조원 투입) 방침 (☞ 이들을 가르칠 교수나 교원은 확보할 수 있을지?)
• 성별·연령대별 비만율 (2024년 기준) @질병관리청
_ 남성 : 20대 39.9%, 30대 53.1%, 40대 50.3%, 50대 41.6%, 60대 34.0%
_ 여성 : 20대 16.8%, 30대 21.1%, 40대 21.4%, 50대 23.2%, 60대 26.6%
• 미국은 1센트 동전을 232년만에 생산 중단 (※ 유통중인 동전만 계속 활용) @미국 필라델피아 조폐국
• 바이비트(2018년 설립, 중국계 글로벌 가상자산거래소)는 코빗(국내 4위 가상자산거래소) 인수 전망
• Linked In(linkedin.com)은 AI 기반의 인물 검색 기능을 통해, 자연어 기반으로 필요인물을 빠르고 직관적으로 찾을 수 있도록 서비스 개시 (※ 우선적으로 미국 프리미엄 유저 대상으로 출시)
• 소프트뱅크그룹은 엔비디아 지분 전량을 매각하고, 그 자금을 OpenAI에 투입
■ 지역별 주거 시장 동향 (※ 분양가는 평형별 최고가 기준)
• 서울 강서구 염창동 262-5에서 분양한 오피스텔 ‘염창역 더채움’의 청약 결과, 6실 모집에 31건이 청약되어 평균 경쟁률 5.17대1 기록 (시행사는 염창역더채움, 시공사는 연우종합건설, 분양대행사는 태성개발) / ※ 2023년 7월 사용승인
_ 준공업지역 231평, 연면적 899평.. 지하1층~지상20층, 1개동, 오피스텔 28실(전용면적 61·62㎡) 중 잔여 6실 + 도시형생활주택 10가구.. 주차 38대(실당 1대)
_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61.87~62.01㎡(전용면적 18.72~18.76평) 7억2,400만원.. 계약금 10% + 잔금 90%
_ 2025년 11월 5~11일 청약.. 청약신청금은 300만원.. 2025년 11월 입주 예정
• 서울 동대문구 청량리동 368 일대에서 도시형생활주택 ‘청량리역 요진 와이시티’ 분양 예정 (시행사는 마스턴제83호청량PFV, 시공사는 요진건설산업, 분양대행사는 신현)
_ 부지 1,134평, 연면적 6,538평.. 지하4층~지상19층, 2개동, 전용면적 43~59㎡, 총 130가구.. 주차 157대(가구당 1.21대) + 오피스텔 + 근생시설
_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43.30㎡(전용면적 13.10평) 7억5,000만원, 48.03㎡(14.53평) 8억1,600만원, 52.42㎡(15.86평) 7억9,900만원, 55.41㎡(16.76평) 8억4,800만원, 59.28㎡(17.93평) 9억1,600만원, 59.94㎡(18.13평) 9억9,500만원.. 계약금 5%(1차분 1,000만원 정액제) + 중도금 60%(40%까지 이자후불제) + 잔금 35%
_ 발코니 확장비는 43·48·52㎡ 1,200만원, 55㎡ 1,500만원, 59㎡ 1,700만원
_ 2025년 11월 17일 청약.. 청약 신청금은 100만원.. 2028년 3월 입주 예정
• 서울 동작구 신대방동 725에서 도시형생활주택 ‘보라매 휴마레’ 분양 예정 (시행사는 KB부동산신탁(위탁사는 현진건업개발), 시공사는 현진건업, 분양대행사는 프런티어마루)
_ 제3종 일반주거지역 988평, 연면적 3,688평.. 지하2층~지상13층, 1개동, 총 114실 중 잔여분 5가구
_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40.68㎡(전용면적 12.31평) 5억1,720만원, 48.16㎡(14.57평) 5억6,760만원, 50.16㎡(15.17평) 5억9,180만원.. 계약금 10%(1차분 500만원 정액제) + 잔금 90%
_ 2025년 11월 25일 청약.. 청약 신청금은 100만원.. 2025년 12월 입주 예정
• 대우건설이 서울 마포구 중동 78 일대에서 추진중인 '모아타운'의 시공사로 선정.. 도급 공사비는 1,982억원(채당 3.65억원)
_ 지하4층~지상35층, 6개동, 총 543가구.. 제안 브랜드명은 ‘마포 푸르지오 센트럴 로열’
• 서울 서초구 반포동 1109 일대에서 분양한 ‘반포 래미안 트리니원’의 1순위 청약 결과, 230가구 모집에 54,631건이 청약되어 평균 경쟁률 237.53대1 기록 (시행사는 반포아파트(제3주구) 주택재건축정비사업조합, 시공사는 삼성물산, 분양대행사는 컬리넌홀딩스)
_ 지하3층~지상35층, 17개동, 총 2,091가구.. 일반분양 506가구(전용면적 59·84㎡).. 주차는 가구당 1.3대.. 게스트 하우스, 실내 수영장 등 조성
_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59㎡(공급면적 24평) 20억600만원~21억3,100만원, 84㎡(33·34평) 26억8,400만원~27억4,900만원.. 평당 분양가는 8,005~8,865만원.. 분양가 상한제.. 계약금 20% + 중도금 60% + 잔금 20%
_ 발코니 확장비는 59㎡ 1,425~1,660만원, 84㎡ 1,632~2,103만원
_ 2025년 11월 11일 1순위 청약.. 2026년 8월 입주.. 전매제한 3년, 거주의무기간 3년
_ 서울과 서초구와 반포동의 평당 평균 시세는 각각 4,714만원, 9,669만원, 13,851만원
• 서울 성동구 도선동 114 일대에서 오피스텔 ‘왕십리역 어반홈스’ 분양 예정 (시행사는 교보자산신탁(위탁자 이진숙), 시공사는 대건산업건설, 분양대행사는 태성개발)
_ 부지 95평, 연면적 821평.. 지하3층~지상13층, 1개동, 전용면적 32~38㎡, 총 42실 중 22실.. 주차 35대(실당 0.83대)
_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32.84㎡(전용면적 9.93평) 5억7,018만원, 35.83㎡(10.84평) 5억8,686만원, 36.25㎡(10.97평) 5억9,312만원, 37.05㎡(11.21평) 5억8,999만원, 38.04㎡(11.51평) 5억8,999만원.. 계약금 10% + 잔금 90%
_ 2025년 11월 12~18일 청약.. 청약 신청금은 500만원.. 2026년 2월 입주 예정
• 서울 송파구 방이동 41-2에서 오피스텔 ‘잠실 테라412’ 분양 예정 (시행사는 무궁화신탁(수탁사는 리움디엠씨), 시공사는 주성종합건설)
_ 부지 205평, 연면적 1,719평.. 지하2층~지상17층, 1개동, 총 89실 중 잔여분 16실.. 주차 63대(실당 0.71대)
_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27.75㎡(전용면적 8.39평) 3억8,804만원, 33.96㎡(10.27평) 4억6,879만원, 50.69㎡(15.33평) 7억2,888만원, 51.34㎡(15.53평) 5억8,520만원.. 계약금 10% + 중도금 10% + 잔금 80%
_ 2025년 11월 17~18일 청약.. 청약 신청금은 300만원.. 2025년 11월 입주 예정
• 서울 영등포구 당산동6가 341-1 일대에서 오피스텔 ‘당산역 더클래스 한강’ 분양 예정 (시행사는 당산동6가 신축판매, 시공사는 성안산업개발)
_ 부지 366평, 연면적 2,979평.. 지하5층~지상12층, 2개동, 총 64실 중 잔여분 8실
_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29.76㎡(전용면적 9.00평) 4억6,965만원, 36.88㎡(11.16평) 5억7,785만원, 41.59㎡(12.58평) 6억6,430만원.. 계약금 10%(1차분 1,000만원 정액제) + 중도금 10% + 잔금 80%
_ 2025년 11월 19~25일 청약.. 청약 신청금은 500만원.. 2025년 12월 입주 예정
• 롯데쇼핑은 인천 남동구 구월동 1446 일대(舊구월농산물시장) 17,746평 부지에 대규모 '공동주택(지상49층, 2,300여 가구)' 조성 계획
• 예술회관역복합개발株는 인천 남동구 구월동 1455 일대(舊롯데백화점)에서 주상복합 신축 계획.. 2026년초 착공 목표
_ 연면적 40,658평.. 지하6층~지상37층, 4개동, 총 480가구.. 시공사는 현대엔지니어링
• 경기 광명시 광명4동 158-403 일대에서 ‘힐스테이트 광명 11’ 분양 예정 (시행사는 광명제11R구역 주택재개발정비사업조합, 시공사는 현대건설)
_ 지하5층~지상42층, 25개동, 전용면적 39·51·59·74·84㎡, 총 4,291가구.. 일반분양 652가구
_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39㎡(공급면적 17평) 5억6,440만원~6억1,020만원, 51㎡(23평) 9억7,640만원, 59㎡(25평) 11억2,260만원~11억6,940만원, 74㎡(29·30평) 13억5,300만원~13억8,610만원, 84㎡(33평) 16억4,100만원.. 평당 분양가는 3,343~4,908만원.. 계약금 10%(1차분 1,000만원 정액제) + 중도금 60%(59A형은 이자 후불제, 타 주택형은 무이자, 단 40%까지) + 잔금 30%
_ 발코니 확장비는 39㎡ 1,160만원, 51㎡ 1,290만원, 59㎡ 1,220~1,630만원, 74㎡ 1,190~2,260만원, 84㎡ 1,318만원
_ 2025년 11월 18일 1순위 청약.. 2029년 6월 입주 예정.. 전매제한 3년
_ 경기와 광명시와 광명동의 평당 평균 시세는 각각 1,837만원, 2,730만원, 2,628만원
• 경기 김포시 사우동 173-1 일대(풍무역세권도시개발사업 B2블록)에서 ‘풍무역세권 수자인 그라센트 1차’ 분양 예정 (시행사는 BS산업·BS한양, 시공사는 BS한양, 분양대행사는 산하이앤씨) / ※ 향후 2차 639가구 추가 분양 예정
_ 지하2층~지상29층, 10개동, 전용면적 59·84㎡, 총 1,071가구
_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59㎡(공급면적 25평) 5억5,720만원~5억5,830만원, 84㎡(34평) 7억650만원.. 평당 분양가는 2,081~2,154만원.. 분양가 상한제.. 계약금 10%(1차분 1,000만원 정액제) + 중도금 60%(이자 후불제) + 잔금 30%
_ 발코니 확장비는 59㎡ 533~536만원, 84㎡ 664만원
_ 2025년 11월 18일 1순위 청약.. 2029년 1월 입주 예정.. 전매제한 3년
_ 경기와 김포시와 사우동의 평당 평균 시세는 각각 1,833만원, 1,363만원, 1,331만원
• 경기 부천시 오정구 원종동 298-1 일대에서 ‘엘리프 원종’ 분양 예정 (시행사는 원종공항연립가로주택정비사업조합, 시공사는 계룡건설산업)
_ 부지 2,294평, 연면적 9,616평, 용적률 249.87%, 건폐율 32.64%.. 지하2층~지상14층, 8개동, 전용면적 59~84㎡, 총 207가구.. 일반분양 98가구(전용면적 59·72·74㎡)
_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59㎡(공급면적 23평) 5억300만원~5억2,030만원, 72㎡(27평) 6억2,150만원, 74㎡(28평) 6억2,510만원.. 평당 분양가는 2,210~2,271만원.. 계약금 10%(1차분 1,000만원 정액제) + 중도금 60%(이자 후불제) + 잔금 30%
_ 발코니 확장비는 59㎡ 1,200~1,443만원, 72㎡ 1,236만원, 74㎡ 1,525만원
_ 2025년 11월 25일 1순위 청약.. 2028년 1월 입주 예정.. 전매제한 1년
_ 경기와 부천시와 오정구와 원종동의 평당 평균 시세는 각각 1,837만원, 1,834만원, 1,441만원, 1,414만원
• 경기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 88 일대에서 분양한 ‘더샵 분당티에르원’의 1순위 청약 결과, 47가구 모집에 4,721건이 청약되어 평균 경쟁률 100.45대1 기록 (시행사는 느티마을3단지 리모델링주택조합, 시공사는 포스코이앤씨, 분양대행사는 산하이앤씨)
_ 지하3층~지상28층, 12개동, 총 873가구.. 일반분양 102가구(전용면적 66·74·84㎡).. 주차 대수가 484대에서 1,486대로 증가.. 지상24~25층에 분당 최초의 스카이 라운지 조성
_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66㎡(공급면적 28평) 19억7,400만원, 74㎡(31평) 23억1,800만원, 84㎡(35·36평) 25억200만원~26억8,400만원.. 평당 분양가는 7,019~7,520만원.. 계약금 10%(1차분 5,000만원 정액제) + 중도금 60%(40% 이자후불제) + 잔금 30%
_ 발코니 확장비는 분양가에 포함 (※ 비확장형 선택 불가)
_ 2025년 11월 11일 1순위 청약.. 2027년 10월 입주 예정.. 전매제한 3년
_ 경기와 성남시와 분당구와 정자동의 평당 평균 시세는 각각 1,833만원, 4,360만원, 4,892만원, 5,128만원
• 경기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 243 일대(성남복정1지구 B1블록)에서 ‘복정역 에피트’ 분양 예정 (시행사는 성남복정1PFV, 시공사는 HL D&I한라, 분양대행사는 넥스미디어) / ※ 2025년 7월 착공, 공사기간 32개월
_ 지하2층~지상20층, 6개동, 전용면적 84㎡ 단일평형, 총 315가구(일반분양 315가구)
_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84㎡(공급면적 34평) 11억9,900만원~12억4,900만원.. 평당 분양가는 3,540~3,697만원.. 분양가 상한제.. 계약금 20%(1차분 10%) + 중도금 60%(이자후불제) + 잔금 20%.. 발코니 확장비는 84㎡ 717~909만원
_ 2025년 11월 25일 1순위 청약.. 2028년 4월 입주.. 전매제한 3년.. 거주의무기간 3년
_ 경기와 성남시와 수정구의 평당 평균 시세는 각각 1,837만원, 4,379만원, 3,848만원
• 경기 수원시 권선구 금곡동 868 일대(당수1지구 공공주택지구 C3블록)에서 분양한 ‘엘리프 한신더휴 수원 C3블록(본청약)’의 1순위 청약 결과, 322가구 모집에 330건이 청약되어 평균 경쟁률 1.02대1 기록 / 2순위까지 429건이 청약되어 최종 1.33대1 기록 (시행사는 수원당수PFV·계룡건설산업, 시공사는 계룡건설산업, 분양대행사는 엠비앤홀딩스)
_ 지하2층~지상19층, 10개동, 총 452가구.. 금번 본청약 440가구(전용면적 74·84㎡).. 주차 906대(가구당 2.0대)
_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74㎡(공급면적 30평) 7억900만원, 84㎡(33평) 7억5,800만원~13억650만원.. 평당 분양가는 2,263~3,901만원.. 분양가 상한제.. 계약금 10%(1차분 5%) + 중도금 60%(이자 후불제) + 잔금 30%
_ 발코니 확장비는 74㎡ 543만원, 84㎡ 385~742만원
_ 2025년 11월 11일 1순위 청약.. 2027년 12월 입주 예정.. 전매제한 3년
_ 경기와 수원시와 권선구와 금곡동의 평당 평균 시세는 각각 1,833만원, 1,956만원, 1,533만원, 1,570만원
• 경기 수원시 권선구 당수동 728-13 일대(당수1지구 공공주택지구 D3블록)에서 분양한 ‘엘리프 한신더휴 수원 D3블록(본청약)’의 1순위 청약 결과, 534가구 모집에 425건이 청약되어 평균 경쟁률 0.80대1 기록 / 2순위까지 603건이 청약되어 최종 1.13대1 기록 (시행사는 수원당수PFV·계룡건설산업, 시공사는 한신공영·신흥건설, 분양대행사는 엠비앤홀딩스)
_ 지하2층~지상23층, 12개동, 총 697가구.. 금번 본청약 640가구(전용면적 74~120㎡).. 주차 906대(가구당 2.0대)
_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59㎡(공급면적 25평) 3억9,700만원, 84㎡(35평) 5억6,200만원~5억6,600만원, 106㎡(44평) 7억1,110만원.. 평당 분양가는 1,572~1,631만원.. 분양가 상한제.. 계약금 10%(1차분 5%) + 중도금 60% + 잔금 30%
_ 발코니 확장비는 74㎡ 543만원, 84㎡ 385~572만원, 92㎡ 543~614만원, 106㎡ 659만원, 112㎡ 412만원, 120㎡ 600~727만원
_ 2025년 11월 11일 1순위 청약.. 2028년 4월 입주 예정.. 전매제한 3년
_ 경기와 수원시와 권선구와 당수동의 평당 평균 시세는 각각 1,833만원, 1,956만원, 1,533만원, 1,063만원
• 경기 시흥시 거모동 1175 일대(시흥거모 공공주택지구 S-2블록)에서 ‘대방 엘리움 더 루체 I’ 분양 예정 (시행 및 시공사는 대방산업개발, 분양대행사는 희명기획)
_ 지하2층~지상23층, 7개동, 전용면적 84·122㎡, 총 382가구.. 주차 710대(가구당 1.86대)
_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84㎡(공급면적 33평) 6억2,157만원, 122㎡(45평) 8억2,499만원.. 평당 분양가는 1,821~1,865만원.. 분양가 상한제.. 계약금 10%(1차분 5%) + 중도금 60% + 잔금 30%.. 발코니 확장비는 84㎡ 813만원, 122㎡ 1,171만원
_ 2025년 11월 25일 1순위 청약.. 2028년 8월 입주 예정.. 전매제한 3년
_ 경기와 시흥시와 거모동의 평당 평균 시세는 각각 1,837만원, 1,370만원, 821만원
• 경기 시흥시 거모동 1196-1 일대(시흥거모 공공주택지구 B-2블록)에서 ‘대방 엘리움 더 루체 II’ 분양 예정 (시행 및 시공사는 대방산업개발, 분양대행사는 희명기획)
_ 지하2층~지상22층, 5개동, 전용면적 84㎡ 단일평형, 총 300가구(일반분양 270가구).. 주차 455대(가구당 1.52대)
_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84㎡(공급면적 33평) 6억4,977만원.. 평당 분양가는 1,954만원.. 분양가 상한제.. 계약금 10%(1차분 5%) + 중도금 60% + 잔금 30%
_ 발코니 확장비는 84㎡ 813만원
_ 2025년 11월 25일 1순위 청약.. 2028년 8월 입주 예정.. 전매제한 3년
_ 경기와 시흥시와 거모동의 평당 평균 시세는 각각 1,837만원, 1,370만원, 821만원
• 경기 양평군 양평읍 오빈리 140-1 일대에서 ‘효성해링턴 플레이스 양평’ 분양 예정 (시행사는 한국토지신탁(위탁사는 상진), 시공사는 진흥기업, 분양대행사는 국진)
_ 부지 7,301평, 용적률 199.85%, 건폐율 14.83%.. 지하2층~지상25층, 5개동, 전용면적 72·74·84·117㎡, 총 455가구
_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72㎡(공급면적 28평) 4억6,570만원, 74㎡(29평) 4억7,110만원, 84㎡(33평) 5억5,030만원~5억5,770만원, 117㎡(46·47평) 13억8,430만원.. 평당 분양가는 1,622~2,985만원.. 계약금 5%(1차분 500만원 정액제) + 중도금 60%(이자 후불제) + 잔금 35%
_ 발코니 확장비는 72㎡ 1,430만원, 74㎡ 1,540만원, 84㎡ 1,760~1,980만원, 117㎡ 2,530만원
_ 2025년 11월 18일 1순위 청약.. 2028년 4월 입주 예정.. 전매제한 6개월
_ 경기와 양평군과 양평읍의 평당 평균 시세는 각각 1,833만원, 1,131만원, 1,201만원
• 경기 평택시 장안동 2 일대(평택브레인시티 일반산업단지 공동4블록)에서 분양한 ‘브레인시티 비스타동원’의 1순위 청약 결과, 1,577가구 모집에 25건이 청약되어 평균 경쟁률 0.02대1 기록 / 2순위까지 52건이 청약되어 최종 0.03대1 기록 (시행사는 월드컵, 시공사는 동원개발, 분양대행사는 터존)
_ 지하2층~지상35층, 14개동, 전용면적 59·84·106㎡, 총 1,600가구.. 주차 2,344대(가구당 1.47대).. 사우나, 다목적 체육관, 카페테리아 등 조성
_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59㎡(공급면적 25평) 3억9,700만원, 84㎡(35평) 5억6,200만원~5억6,600만원, 106㎡(44평) 7억1,110만원.. 평당 분양가는 1,572~1,631만원.. 분양가 상한제.. 계약금 5% + 중도금 60% + 잔금 35%
_ 발코니 확장비는 59㎡ 654만원, 84㎡ 759~790만원, 106㎡ 893만원
_ 2025년 11월 11일 1순위 청약.. 2028년 12월 입주 예정.. 전매제한 3년
_ 경기와 평택시와 장안동의 평당 평균 시세는 각각 1,833만원, 995만원, 876만원
• 계룡건설·원건설은 세종 합강동 57 일대(행정중심복합도시 5-1생활권 L9블록)에서 ‘엘리프 세종 스마트시티’ 분양 예정
_ 부지 10,682평.. 용적률 145.34%, 건폐율 23.99%, 연면적 25,447평.. 지하2층~지상18층, 전용면적 59~84㎡, 15개동, 총 424가구.. 주차 766대(근생 39대, 업무 40대 포함)
• 대전 유성구 도룡동 382 일대에서 분양한 ‘도룡자이 라피크’의 1순위 청약 결과, 214가구 모집에 3,407건이 청약되어 평균 경쟁률 15.92대1 기록 (시행사는 한국토지신탁(위탁사는 대전하이엔드개발株), 시공사는 GS건설, 분양대행사는 CI&D플러스) / ※ 상품기획의 승리!!
_ 지하3층~지상26층, 4개동, 전용면적 84~175㎡, 총 299가구.. 사우나, 북카페, 게스트 하우스와 커뮤니티 옥상(지상3층)에 루프탑 자쿠지·카바나·수경시설 등 조성
_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84㎡(공급면적 33평) 14억400만원~14억3,500만원, 115㎡(45평) 19억9,900만원, 120㎡(47평) 20억9,300만원~21억1,800만원, 136㎡(53평) 23억8,900만원~24억100만원, 175㎡(69평) 39억9,000만원.. 평당 분양가는 4,214~5,780만원.. 계약금 10%(1차분 3,000만원 정액제) + 중도금 60%(이자 후불제) + 잔금 30%
_ 발코니 확장비 무상
_ 2025년 11월 11일 1순위 청약.. 2028년 12월 입주 예정.. 전매제한 6개월
_ 대전과 유성구와 도룡동의 평당 평균 시세는 각각 1,163만원, 1,364만원, 3,028만원
• 충남 천안시 동남구 용곡동 617 일대에서 ‘천안 용곡 두산위브’ 분양 예정 (시행사는 용곡두산위브지역주택조합, 시공사는 두산건설) / ※ 2025년 10월 준공
_ 지하2층~지상29층, 6개동, 전용면적 84·105·114㎡, 총 409가구(일반분양 48가구)
_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84㎡(공급면적 33평) 4억5,550원~4억6,250만원, 105㎡(41평) 5억7,850만원, 114㎡(45평) 6억2,000만원.. 평당 분양가는 1,376~1,425만원.. 계약금 10% + 잔금 90%
_ 발코니 확장비는 84㎡ 1,300~1,500만원, 105㎡ 1,700만원, 114㎡ 1,800만원
_ 2025년 11월 25일 1순위 청약.. 2025년 12월 입주 예정
_ 충남과 천안시와 동남구와 용곡동의 평당 평균 시세는 각각 725만원, 794만원, 690만원, 722만원
• DL이앤씨는 충남 홍성군 홍북읍 신경리 929 일대(내포신도시 RH 14블록)에서 ‘e편한세상 내포 에듀플라츠’ 분양 예정
_ 지하2층~지상25층, 9개동, 총 727가구(민간참여 공공분양(전용면적 84㎡) 605가구 + 일반분양(전용면적 119㎡) 122가구).. 건식 사우나, 게스트 하우스 조성
• 경북 울진군 후포면 후포리 581-1 일대에서 ‘마린시티’ 분양 예정 (시행사는 박순희(대양주택건설), 시공사는 도담종합건설)
_ 지상12층, 1개동, 전용면적 82·84㎡, 총 30가구
_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82·84㎡(공급면적 33평) 3억9,500만원.. 평당 분양가는 1,189~ 1,203만원.. 계약금 10% + 잔금 90%
_ 2025년 11월 20일 1순위 청약.. 2025년 12월 입주 예정
• 울산 남구 신정동 1335-7 일대에서 ‘문수로 코아루 에듀스카이’ 분양 예정 (시행사는 한국토지신탁(위탁사는 신정도시개발), 시공사는 금강종합건설, 분양대행사는 동인위즈)
_ 지하5층~지상38층, 2개동, 전용면적 84㎡ 단일평형, 총 123가구
_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84㎡(공급면적 35평) 8억2,480만원~8억3,980만원.. 평당 분양가는 2,336~2,370만원.. 계약금 5%(1차분 500만원 정액제) + 중도금 60%(무이자) + 잔금 35%.. 발코니 확장비는 84㎡ 2,500만원
_ 2025년 11월 18일 1순위 청약.. 2029년 1월 입주 예정.. 전매제한 6개월
_ 울산과 남구와 신정동의 평당 평균 시세는 각각 1,041만원, 1,328만원, 1,707만원
• 울산 울주군 범서읍 서사리 515-2 일대(울산다운2지구 B-1블록)에서 ‘유승한내들 에듀포레’ 분양 예정 (시행 및 시공사는 유승종합건설)
_ 부지 10,023평, 지하2층~지상25층, 7개동, 전용면적 83㎡ 단일평형, 총 507가구.. 주차 708대(가구당 1.40대)
_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83㎡(공급면적 33평) 5억614만원~5억957만원.. 평당 분양가는 1,535~1,551만원.. 분양가 상한제.. 계약금 5%(1차분 1,000만원 정액제) + 중도금 60%(이자 후불제) + 잔금 35%
_ 발코니 확장비는 83㎡ 259~325만원
_ 2025년 11월 25일 1순위 청약.. 2028년 9월 입주 예정.. 전매제한 1년
_ 울산과 울주군과 범서읍의 평당 평균 시세는 각각 1,044만원, 824만원, 1,041만원
• 부산 강서구 화전동 558에서 분양한 ‘명지화전 우방아이유쉘 우선분양전환 후 잔여세대(2차)’의 1순위 청약 결과, 658가구 모집에 3건이 청약되어 평균 경쟁률 0.00대1 기록 (시행사는 SM하이플러스, 시공사는 우방)
_ 지하2층~지상20층, 16개동, 총 1,515가구.. 잔여세대(2차) 658가구(전용면적 59㎡)
_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59㎡(공급면적 25평) 1억8,779만원~1억8,869만원.. 평당 분양가는 748~757만원.. 계약금 10% + 잔금 90%
_ 2025년 11월 14일 1순위 청약.. 2025년 12월 입주 예정.. 전매제한 6개월
_ 부산과 강서구와 화전동의 평당 평균 시세는 각각 1,260만원, 1,152만원, 752만원
• 현대건설이 부산 동래구 사직동 148-1 일대에서 추진중인 '사직5구역 재개발정비사업'의 시공사로 선정.. 도급 공사비는 3,567억원(채당 4.53억원)
_ 지하3층~지상38층, 4개동, 총 787가구, 주차는 가구당 1.9대.. 제안 단지명은 ‘힐스테이트 사직더프리즘’.. 설계는 UN Studio와 협업.. 공사 기간은 착공 후 40개월
• 부산 동래구 온천동 460-24 일대에서 분양한 주상복합 ‘해링턴플레이스 명륜역’의 1순위 청약 결과, 232가구 모집에 93건이 청약되어 평균 경쟁률 0.40대1 기록 / 2순위까지 118건이 청약되어 최종 0.51대1 기록 (시행사는 우리자산신탁(위탁사는 위드씨엔디), 시공사는 진흥기업, 분양대행사는 보담)
_ 부지 864평, 연면적 12,754평.. 지하5층~지상46층, 3개동, 공동주택 242가구(전용면적 74·84㎡) + 오피스텔 25실.. 게스트 하우스, 사우나, 옥외 수경공간 등 조성 / ※ 도급 공사비 786억원(평당 616만원), PF 1,870억원
_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74㎡(공급면적 31평) 6억9,680만원, 84㎡(36평) 7억9,090만원~7억9,860만원.. 평당 분양가는 2,207~2,227만원.. 계약금 5%(1차분 500만원 정액제) + 중도금 65%(60% 이자 후불제) + 잔금 30%
_ 발코니 확장비는 74㎡ 2,570만원, 84㎡ 2,850만원
_ 2025년 11월 11일 1순위 청약.. 2029년 1월 입주 예정.. 전매제한 6개월
_ 부산과 동래구와 온천동의 평당 평균 시세는 각각 1,260만원, 1,631만원, 1,845만원
• 부산 동래구 온천동 1250-1 일대에서 분양한 ‘동래 에코팰리스 아시아드 리안’의 1순위 청약 결과, 284가구 모집에 32건이 청약되어 평균 경쟁률 0.11대1 기록 (시행사는 신영부동산신탁(위탁사는 지민건설), 시공사는 금오종합건설)
_ 지하7층~지상46층, 2개동, 전용면적 84㎡ 단일평형, 공동주택 291가구
_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84㎡(공급면적 36·37평) 7억1,890만원~7억4,335만원.. 평당 분양가는 1,950~2,050만원.. 계약금 5%(1차분 1,000만원 정액제) + 중도금 60%(무이자) + 잔금 30%.. 발코니 확장비는 84㎡ 2,500만원
_ 2025년 11월 14일 1순위 청약.. 2030년 1월 입주 예정.. 전매제한 6개월
_ 부산과 동래구와 온천동의 평당 평균 시세는 각각 1,260만원, 1,631만원, 1,845만원
• 경남 김해시 신문동 1540 일대에서 ‘김해율하 더스카이시티 제니스앤프라우’ 조합원 취소분 분양 예정 (시행사는 율하이엘지역주택조합, 시공사는 두산건설·코오롱글로벌)
_ 지하4층~지상49층, 13개동, 총 3,764가구.. 조합원 취소분 27가구(전용면적 64·74·84㎡)
_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64㎡(공급면적 27평) 3억7,760만원, 74㎡(31평) 4억2,080만원, 84㎡(35평) 4억8,370만원~4억8,430만원.. 평당 분양가는 1,379~1,394만원.. 계약금 10% + 잔금 90%
_ 발코니 확장비는 64㎡ 1,420만원, 74㎡ 1,600만원, 84㎡ 1,730만원
_ 2025년 11월 24일 1순위 청약.. 2025년 12월 입주 예정
_ 경남과 김해시와 신문동의 평당 평균 시세는 각각 798만원, 726만원, 992만원
• 경남 김해시 안동 118-1 일대에서 ‘김해 안동 에피트’ 분양 예정 (시행사는 안동지역주택조합, 시공사는 HL D&I한라)
_ 지하6층~지상29층, 16개동, 전용면적 59~135㎡, 총 1,539가구(일반분양 765가구)
_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59㎡(공급면적 25평) 3억8,012만원, 68㎡(28평) 4억2,522만원~4억5,466만원, 77㎡(31평) 4억9,931만원, 84㎡(33평) 5억3,400만원, 110㎡(42평) 7억2,240만원, 135㎡(52평) 8억8,388만원.. 평당 분양가는 1,501~1,722만원.. 계약금 5%(1차분 500만원 정액제) + 중도금 60%(무이자) + 잔금 35%
_ 발코니 확장비는 59㎡ 1,705만원, 68㎡ 1,925만원, 77㎡ 2,145만원, 84㎡ 2,310만원, 110㎡ 2,860만원, 135㎡ 3,300만원
_ 2025년 11월 18일 1순위 청약.. 2029년 4월 입주 예정
_ 경남과 김해시와 안동의 평당 평균 시세는 각각 798만원, 724만원, 817만원
• 경남 창원시 성산구 신촌동 34-1 일대에서 ‘성산 더리브 포레스트’ 분양 예정 (시행사는 교보자산신탁(위탁사는 신촌2구역 주택재건축정비사업조합), 시공사는 SGC이앤씨) / ※ 차입형토지신탁
_ 부지 4,101평, 연면적 11,102평, 용적률 214.66%, 건폐율 21.36%.. 지하1층~지상22층, 3개동, 전용면적 59·72·84㎡, 총 258가구(일반분양 143가구).. 주차 260대(가구당 1.01대)
_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59㎡(공급면적 26·27평) 3억6,120만원~3억8,000만원, 72㎡(31평) 4억6,702만원~4억7,012만원, 84㎡(35평) 5억1,300만원.. 평당 분양가는 1,387~1,502만원.. 계약금 10%(1차분 1,000만원 정액제) + 중도금 60%(이자 후불제) + 잔금 30%
_ 발코니 확장비는 59㎡ 1,320만원, 72㎡ 1,430만원, 84㎡ 1,650만원
_ 2025년 11월 25일 1순위 청약.. 2027년 12월 입주 예정
_ 경남과 창원시와 성산구와 신촌동의 평당 평균 시세는 각각 798만원, 990만원, 1,255만원, 491만원
• 전북 순창군 순창읍 순화리 951 일대에서 ‘대상 웰라움 순창’ 분양 예정 (시행사는 교보자산신탁(위탁사는 하이랜드제1호), 시공사는 대상건설)
_ 제2종 일반주거지역 4,760평, 연면적 12,114평, 용적률 194.75%, 건폐율 18.80%.. 지하1층~지상18층, 5개동, 전용면적 84·112㎡, 총 264가구
_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84㎡(공급면적 33평) 3억8,460만원, 112㎡(43평) 5억1,011만원.. 평당 분양가는 1,182~1,187만원.. 분양가 상한제.. 계약금 10%(1차분 1,000만원 정액제) + 중도금 60%(무이자) + 잔금 30%
_ 발코니 확장비는 84㎡ 1,444만원, 112㎡ 1,981만원
_ 2025년 11월 20일 1순위 청약.. 2027년 11월 입주 예정.. 전매제한 1년
• 전북 전주시 덕진구 송천동1가 12-4 일대에서 ‘송천 아르티엠 더 숲’ 분양 예정 (시행사는 우경주택건설, 시공사는 세영건설)
_ 지하2층~지상28층, 3개동, 전용면적 84㎡ 단일평형, 총 244가구
_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84㎡(공급면적 33·34평) 5억5,200만원~5억6,990만원.. 평당 분양가는 1,639~1,705만원.. 계약금 10% + 중도금 60%(이자 후불제) + 잔금 30%
_ 발코니 확장비는 84㎡ 3,200만원
_ 2025년 11월 25일 1순위 청약.. 2028년 6월 입주 예정
_ 전북과 전주시와 덕진구와 송천동1가의 평당 평균 시세는 각각 705만원, 897만원, 943만원, 797만원
• 전남 여수시 학동 75-2 일대에서 분양한 ‘효성해링턴 플레이스 여수’의 1순위 청약 결과, 277가구 모집에 30건이 청약되어 평균 경쟁률 0.11대1 기록 / 2순위까지 214건이 청약되어 최종 0.77대1 기록 (시행사는 한국토지신탁(위탁사는 클라우드이앤씨), 시공사는 진흥기업, 분양대행사는 국진)
_ 지하5층~지상39층, 2개동, 전용면적 84·103·114㎡, 총 278가구
_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84㎡(공급면적 35평) 5억7,300만원~5억7,500만원, 103㎡(42평) 6억9,800만원, 114㎡(47평) 8억1,700만원.. 평당 분양가는 1,632~1,750만원.. 계약금 5%(1차분 500만원 정액제) + 중도금 60%(무이자) + 잔금 35%
_ 발코니 확장비는 84㎡ 1,650만원, 103㎡ 1,980만원, 114㎡ 2,090만원
_ 2025년 11월 11일 1순위 청약.. 2029년 4월 입주 예정
_ 전남과 여수시와 학동의 평당 평균 시세는 각각 618만원, 707만원, 1,086만원
■ 주거 상품 동향 (※ 럭셔리·시니어·리츠 등)
• 메디원코리아(의료기기 제조·유통업체)는 서울 동작구 노량진동 128-2 일대 1,146평 부지를 2025년 6월경 508.48억원(평당 4,437만원)에 매입.. 향후 실버주택 개발 전망
_ 최초에는 비타에듀에서 역세권 청년주택(지하3층~지상18층, 299가구) 신축 계획.. 이후 2025년 3월경 최저입찰가 911.5억원으로 경매 진행
• 하이서울147청년주택리츠(공공지원 민간임대리츠)는 서울 성동구 용답동 231 일대에서 신축중인 '장한평 역세권 청년민간임대주택(799가구)'를 이지스MF용답리츠로부터 3,793억원(채당 4.75억원)에 선매입
• 시원(DSD삼호 자회사)는 경기 용인시 수지구 고기동 산20-12 일대 55,713평 부지에 '노인복지주택' 공급 계획.. 2026년 상반기 착공 목표
_ 지하3층~지상15층, 16개동, 892가구.. 시공사는 현대건설 예정
• 신한은행은 호텔롯데와 '시니어 산업' 관련 업무 협력 MOU 체결
• 홈즈컴퍼니는 일본 도쿄 시나가와와 신주쿠에 이어 오사카에 코리빙 시설 2개 신규 지점(닛폰바시점 82실, 구조점 185실) 개관
■ 비주거 시장 및 업계 동향
• 경기주택도시공사(GH)는 경기 고양시 일산동구 장항동 1818 일대에서 지식산업센터 ‘GH Biz&고양’ 신축 예정.. 2029년말 준공 목표
_ 연면적 60,500평, 지하6층~지상40층.. 산업시설·업무시설·지원시설(기숙사·어린이집 등)·근린생활시설 등 조성.. 시공은 코오롱글로벌 컨소시엄
_ 경기관광공사, 경기문화재단,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 등 입주 예정
• 웰스어드바이저스·코람코자산신탁은 경기 과천시 주암동 산 2-1 일대에서, 대토리츠 개발방식으로 '주암 오피스타운' 신축 계획
_ 부지 5,280평, 연면적 48,400평.. 지하6층~지상10층, 4개동
• 신영식사PFV는 경기 고양시 일산동구 식사동 293 일대에서 조성하는 데이터센터의 시공사로 GS건설 선정
_ 연면적 25,222평, 지하5층~지상3층.. 80MW급.. 도급 공사비는 8,000억원선
• 현대엘리베이터는 충북 충주시 충주산단1로 128에 소재한 본사 용지에서, 2026년 6월 준공을 목표로 수직주기형 버티포트 'H-PORT' 테스트베드 착공
• 삼성전자는 전북 고창군 고수면 봉산면 1586 일대 고창신활력산업단지 內 54,942평 부지에, 사업비 3,500억원을 투입하여 '스마트허브단지(물류센터)'를 2027년 준공 목표
• 새만금~전주고속도로(55.1km)가 2010년 착공후 2025년11월21일에 전면 개통.. 총 사업비 2조7,424억원(전북 지역 최대 도로 인프라 사업)
• 크로스건설(시공능력평가 1,112억원, 전국 217위)이 기업회생절차 신청
• 노란우산공제(운용자산 26.6조원)는 대체투자 강화를 위해, 자산운용본부에서 기업·부동산·인프라투자실을 분리하여 ‘대체투자본부’ 신설
_ 2025년 올해 대체투자 비중을 26.1%에서 30.2%로 확대 방침
※ 노란우산공제의 2024년 전체 수익률은 6.02% 수준.. 대체투자 수익률은 9.84%
• 지역별 팝업스토어 평균 운영기간 (2025년 상반기 기준) @Sweet Spot
_ 마포구 22.7일, 송파구 21.0일, 용산구 20.1일, 강남구 18.0일, 종로구 15.7일, 영등포구 15.3일, 성동구 13.9일 / ※ 전체 평균 17.9일
_ 최근 성수동에서는 3일 이내 초단기로 진행되는 이벤트성 팝업스토어 오픈 증가 (여의도 더현대서울은 매주 목·금요일 입점 및 수·목 퇴점의 7일 운영 사이클)
• 엽기떡볶이 가맹점의 연평균 매출액은 약 8억7,966만원선
• 일본 미쓰비시지소는 2030년까지 미국 내에 총 22조원 규모의 데이터센터 14동을 건설 계획
■ 레저·관광 시장 동향
• 株선운은 서울 성동구 행당동 293-11 일대(왕십리역 역세권 활성화사업)에 복합시설 조성 계획.. 지하8층~지상28층, 호텔, 컨벤션, 근린생활시설, 지역필요시설 등
• 코람코라이프인프라리츠는 서울 종로구 경운동 96-18 일대(재동주유소 부지, 안국역 5번출구 연접)에서 관광호텔 신축 계획.. 2027년 하반기 준공 목표
_ 연면적 1,012평, 지하1층~지상14층, 객실수 91실.. 코리빙 운영사 MGRV와 10년 장기 책임임대차.. 준공 후 연평균 현금수익률 약 6.9%, 자기자본수익률(IRR) 9%선 기대
• 2020년11월에 착공한 울릉공항의 현재 공정률은 70% 수준.. 2027년말 완공 예정
• 株아레포즈거제는 경남 거제시 일운면 소동리 19-1 일대 17,445평 부지에 ‘지역활성화 투자 펀드'를 활용하여 리조트 개발 계획.. 2026년 착공 및 2029년 준공 목표
_ 총 사업비 7,200억원.. 지하7층~지상21층, 4개동, 관광호텔 252실, 콘도미니엄 393실, 연회장 등 조성
• 장래인구 추계치로 본 국내 골프인구 증감율 @야놀자 리서치 2025.07
_ 전체 골프인구 (2025년 대비) : 2026년 0.0%, 2027년 -0.2%, 2028년 -0.2%, 2029년 -0.9%, 2030년 -1.3%, 2035년 -3.6%, 2040년 -7.1%
_ 현재의 40~50대 골프인구 (2025년 대비) : 2026년 -1.0%, 2027년 -2.0%, 2028년 -3.3%, 2029년 -5.0%, 2030년 -6.2%, 2035년 -10.7%, 2040년 -13.2%
※ 생각보다는 급감하지 않네요.. ^^
☞ 젊은 직원분들의 공통된 의견입니다. "ChatGPT가 회사에 도입된 후 업무 속도가 너무나도 빨라진 반면, 놀랍게도 휴식 시간은 줄지 않았어요. 오히려 업무 강도가 더 세진 느낌이에요.“
저 역시 그렇습니다. ㅜ.,ㅜ
■ CEO's Lifestyle
○ 주간 베스트셀러
_ 교보문고 : ① 트렌드 코리아 2026, ② 절창, ③ 다크 심리학, ④ 사탄탱고, ⑤ 위버멘쉬, ⑥ 머니 트렌드 2026, ⑦ 모순, ⑧ 주식투자의 뿌리, ⑨ 시대에보 : 경량문명의 탄생, ⑩ 혼모노
_ 예스24 : ① 처음 만나는 양자의 세계, ② 트렌드 코리아 2026, ③ 대형주 추세추종 투자법칙, ④ 위버멘쉬, ⑤ 박곰희 연금 부자 수업, ⑥ 주식투자의 뿌리, ⑦ 절창, ⑧ 어스탐 경의 임사전언, ⑨ 다크 심리학, ⑩ 어른의 행복은 조용하다
○ 금주 밑줄친 문장
_ 경영(CFO) : 파산은 '점진적'으로 오다가 '갑자기' 찾아온다. @어니스트 헤밍웨이
_ 경영(CMO) : 오프라인에서 브랜드는 '스토리'로 만들어지지만, 온라인에서는 '기능(Function)'으로 만들어진다. 여기서 기능이란, 소비자가 0.3초 만에 즉시 이해하는 '문제 해결 단위'이다. 단위가 작고 명확할수록, 사람들은 더 빨리 이해하고, 더 쉽게 결제한다. 온라인에서 성공한 사람들을 보면 모두 같은 방식으로 시장을 열었다. 콘텐츠는 ‘단위’로 만들고, 서비스는 ‘기능’으로 쪼개고, 제품은 ‘작은 해결’로 구성한다. 이 조각들은 이후에 다시 묶여(Re-bundling) 브랜드가 된다.
_ 경영(CMO) : "예전 경기가 어려울 때는 쉽게 말해 ‘가성비’를 위주로 소비가 이뤄졌습니다. 근데 이제는 싸고 좋은 게 너무 많거든요. 가성비 문제가 아니라 이걸 먹었을 때 ‘의미’가 중요해진 거예요. 불경기로 인해 전체적인 소비가 모두 줄었기 때문이에요. 예전에는 내가 삼시 세 끼를 배불리 사 먹을 수 있는 사람이었지만, 지금은 그렇지 않아요. 일주일 내내 외식을 할 수 없으니 주말 저녁 한 끼를 가장 가치 있게 소비하고 싶어하는 마음이죠. 다섯 번의 기회가 한 번으로 줄어들면 당연히 2순위, 3순위는 밀리고 1순위만 가는 거예요." (☞ 외식업에서도 몰리는 곳에만 몰리는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소비자가 외식업에 기대하는 바가 달라졌기 때문이다.) @양인환대·몽탄·청기와타운·고도식·산청숯불가든 정동우 대표
_ 경영(CMO) : '정성을 다한 커피를 파는 카페'를 떠올려보라. 카페를 찾는 고객들에게 '본질'이란 맛있는 커피와 깨끗한 공간이다. 일관된 커피 맛을 위해 전문가가 빈틈없이 재료와 커피 장비를 점검하고 다루며, 공간을 늘 깔끔하게 유지하는 데서 고객은 안정감을 느낀다. 사실은 그것만으로 충분하다. 다양한 마케팅 아이디어로 브랜드를 차별화하려는 시도는 그 이후에 고민해도 된다.
_ 경영(CMO) : “마케터들이 하는 일의 95%를 AI가 담당할 것이다.” @Sam Altman
_ 사회 : 일본의 가구 소득 중위값은 1994년 505만엔에서 2019년 375만엔으로 급감했고, 2025년 기준 상위 10% 고소득층이 전체 소득의 44%를 차지하며, G7 국가 중 두번째로 높은 소득 불평등을 기록했다.
_ 사회 : 도시의 밤이 잠들수록 낮이 비싸진다. 우리가 간편하게 누리는 일상은 모두 밤늦게까지 일하거나 밤부터 일을 시작하는 사람들의 노고에 바탕을 두고 있다. 출근시간에 빵이 구워지려면 누군가는 새벽에 반죽을 치대야 한다. @칼럼니스트 박찬용
_ 소양 : 삶의 변화는 언제나 아주 사소한 것에서 시작된다는 것을, 인간은 아주 늦게 깨닫고는 한다. @최세은 著, 『겹쳐진 도서관』
_ 소양 : 'Why?'는 하나의 광맥을 파고 들고, "If?"는 새로운 광맥을 찾아낸다.
_ 소양 : 다이아몬드를 찾는 사람이 진흙과 수렁에서 분투해야하는 이유는 이미 다듬어진 돌 속에서는 찾을 수 없기 때문이다. 다이아몬드는 만들어지는 것이다. @헨리 윌슨
_ 소양 : 악마는 결코 뿔과 꼬리를 달고 나타나지 않는다.
_ 건강 : 가벼운 컵도 오랫동안 들고 있으면 팔에 쥐가 나듯, 우리의 신경과 근육에도 주기적인 이완의 시간이 필요하다. 긴장이 오랜 시간 풀리지 않으면 잠을 자도 잔 것 같지 않고, 운동을 해도 되레 피곤해진다. 이 상태에서 당장 필요한 것은 운동이 아니라, 이완을 만들어 내는 스트레칭이다. 지금 당장 수축 운동에서 벗어나 이완과 호흡을 통해 휴식의 시간을 30분만 가져본다면, 정신과 몸이 한결 가벼워지는 경험을 할 수 있다. @올블랑 여주엽 대표
○ 추천 여행 : 제주 씨에스 호텔&리조트 (in 제주 서귀포시 중문관광로 198)
_ 제주의 특색이 고스란히 묻어 있는 단독 주택 체험 느낌.. https://www.seaes.co.kr
○ 참조 : AI를 활용하여 생성(?)한 화장품 모델 사례
_ 며칠전 AI 분야의 초고수분을 알게 되었습니다. 다음은 그 분 말씀의 요약입니다.
“5년전 우리는 GPT가 아닌 ‘AI 그 자체가 없는 세상’에서 살아왔습니다. 설령 있었다고 하더라도, AI가 우리 생활에 이렇게 가까이 다가오진 않았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5년 뒤를 상상해볼까요? 앞으로는 어떻게 될까요? AI, GPT를 잘 다루지 못하는 사람은 마치 ‘인터넷을 잘 다루지 못하는 사람’과 같이 도태될 수밖에 없을 겁니다. 세상이 엄청나게 빠르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격하게 공감되는 말씀이었습니다만, 별도로 학습할 시간을 빼기가 참 어렵네요. 급하게 쳐내야할 일들이 너무너무너무 많은지라..
도끼날은 무뎌져만 가고, 도끼날을 가는게 더 중요하다는 것을 알지만, 늘 ‘급한 일’에 뒤처지는 듯 싶습니다..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