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눈에 쉽고 빠르게! 상가114
-
올해 부동산 시장 키워드는 '양극화·금리·임대차'
푸른 뱀의 해, 을사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청색을 의미하는 을(乙)과 뱀을 상징하는 사(巳)를 합해 '청사(靑蛇)의 해'라고도 부릅니다. 올해는 대한민국의 미래를 좌우할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며, 개인 자산관리의 측면에서도 의미가 남다릅니다.전체 자산의 60% 이상이 부동산에 집중된 대한민국에서는 올해 부동산 시장의 변화가 개인과 국가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유난히 변수가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2025년 부동산 시장에서 주목해야 할 핵심 트렌드를 살펴보겠습니다.먼저 양극화입니다.올해 부동산 시장은 지역별·유형별 양극화가 더욱 심화할 전망입니다. 선호도가 높은 지역과 그렇지 않은 지역 간의 온도 차이는 뚜렷하게 나타날 것이며, 동일한 지역 내에서 아파트와 비아파트의 격차도 커질 것입니다.지난해 서울 강남 3구(서초·강남·송파구)와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 등으로 대표되는 선호 지역들의 아파트 가격은 서울 외곽 지역의 아파트 가격에 비해 2~3배 이상 높은 가격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전반적으로 주택 시장이 불안정하고 경기 침체나 금리 변동성에 대한 우려가 있다 보니, 지역과 주택 유형, 입주 연차 등을 세밀하게 따져 안전자산으로서의 투자 가치 및 환금성이 높다고 생각되는 서울 아파트 신축 대단지 쪽에 수요자들이 집중되며 양극화를 극대화했습니다.게다가 다주택 규제가 지속되고 절세 전략도 고려하다 보니 최근에는 1주택 중심의 투자를 하시는 경향들이 강해져서 '똘똘한 한 채'를 선택하는 트렌드는 더 강해져 극과 극의 주택시장 분위기가 형성될 것으로 전망됩니다.지난해 연말부터 시작된 정치적 불확실성은 관망세를 장기화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며 한동안 거래를 멈추고 상황을 지켜보겠지만 정권의 방향성이 정해지면서 거래가 늘고 지역에 따른 가격 변동성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가격 변동은 지역의 수급 밸런스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데, 예를 들어 서울 강남권 등 주요 상급지는 수요 대비 공급 부족으로 상승세를 이어가고 여전히 공급과잉으로 꼽히는 대구, 경북 등 지방 일부 지역은 하락세가 장기화할 것으로 전망됩니다.다음은 금리입니다.흔히 부동산 시장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심리라고 합니다. 실제로 과거에는 금리가 빠르게 인상되는 시기에 오히려 주택 가격도 동반 상승하는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금리가 인상돼 이자 부담이 늘어도 주택 가격 상승 압력이 더 높으면 가격이 올라가는 것입니다. 이렇게 매입 심리가 군중 심리로 확산하면 주택가격이 단기적으로 올라가게 됩니다. 나만 뒤처지는 것 같은 패닉바잉이 주택 시장을 과열시키는 것입니다.그러나 이제는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로 인해 매입하고 싶은 마음이 굴뚝 같아도 본인의 소득이 따라주지 않으면 살 수가 없습니다. 지난해 9월부터 DSR 2단계에 돌입하면서 은행권 주담대 및 일반 신용대출에 대한 규제가 강화된 후 서울 아파트 가격 급등세가 빠르게 둔화하고 거래도 급감한 바 있습니다. 올해도 예정대로 7월부터 스트레스 DSR 3단계가 진행되면 가산 금리가 최대 1.5% 더 적용되면서 대출 가능 액수가 줄어들게 됩니다.DSR 규제가 강화되면서 대출 여건이 까다로워지고 있지만, 금리 인하가 예정되어 있어 수요자들의 부담을 일부 완화할 수는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특례보금자리론과 같은 저금리 정책 대출 지원은 시장 참여자들에게 매우 좋은 주택 매입의 기회가 됩니다. 자격 요건이 된다면 DSR과 관계없이 저리로 주택 매입 자금을 마련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DSR 규제가 지속되는 이상 대출 가능 금액과 이자 부담이 주택 매입을 결정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전제 조건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대출받지 않고 주택을 매입하는 현금 부자들이 시장에 진입하는 시기와 특례보금자리론과 같이 완화된 공공 금융 정책이 출시되는 시기가 주택 시장의 전환점이 될 수 있습니다.전·월세 시장의 변화도 감지됩니다.전셋값 상승과 '전세의 월세화' 현상이 지속될 전망입니다. 신규 입주 물량 감소와 매매시장 관망세가 장기화하면서 전세 수요가 증가하고, 전월세 전환율도 꾸준히 오를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서민 주거비 부담을 가중하며, 특히 수도권의 상승세가 두드러질 것입니다. 반면, 지방은 수급 밸런스에 따라 상반된 흐름을 보일 수 있습니다지난해 매매 가격 상승세에 따라서 전·월세 임차 가격도 변동성을 보였고, 임대차 입법 4년 차가 넘어가면서 서울 아파트 중심의 전월세 가격 상승세가 상호작용을 보이고 있습니다. 또한 아직 남아있는 전세 사기 여파가 비아파트를 비 선호하는 현상을 지속시키고 있어 주요 입지의 아파트 가격 강세는 지속될 전망입니다.수도권 중심의 전월세 가격이 지난해부터 빠르게 올라가기 시작했는데 올해는 수도권 신축 아파트 입주 물량이 매우 감소해서 신축 아파트 중심의 전월세 가격은 지속해서 올라갈 수 있습니다.역사적으로 120년 전, 을사년(1905년)은 대한민국에 깊은 상흔을 남긴 해로 기록돼 있습니다. 일본의 식민지 지배가 본격화된 시점으로 국가의 운명이 비극적으로 급변한 전환점이었습니다. 2025년 을사년 자산시장에 있어서 현황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위기로 다가오는 변수들에 대비해 국가와 개인의 미래가 회복과 성장으로 전환되는 해로 기록되기를 소망합니다.
-
지역별 부동산 동향과 제도/정책, 업계 정보 요약 0113
지역별 부동산 동향 (※ 분양가는 평형별 최고가 기준) • 서울 성북구 석관동 338-18에서 분양한 도시형생활주택 '상월곡역 장위아트포레'의 청약 결과, 5가구 모집에 총 97건이 청약되어 평균 경쟁률 19.40대1 기록 (시행사는 교보자산신탁(위탁사는 새석관시장정비사업조합), 시공사는 희상건설) _ 부지 816평, 연면적 5,153평, 지하4층~지상15층, 1개동, 총 191실중 잔여 5가구 _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18.07㎡(전용면적 5.47평) 2억2,500만원, 22.19㎡(6.71평) 2억8,300만원, 27.20㎡(8.23평) 3억200만원, 31.99㎡(9.68평) 3억5,700만원 _ 2025년 1월 6~8일 청약.. 청약 신청금은 100만원.. 2025년 5월 입주 예정 • 서울 용산구 이태원동 22-34 일대(前UN사) 13,617평 부지에서 주상복합 '더 파크사이드 서울'의 오피스텔이 2025년 3~4월경 분양 예정 (시행사는 용산일레븐株, 시공사는 현대건설, 설계사는 DA그룹엔지니어링) _ 지하7층~지상20층, 공동주택 420가구(2027년경 후분양), 오피스텔 723실(평당 분양가는 1.5억원 이상?), 판매시설, 문화 및 집회시설, 호텔.. 사업비 11.03조원 규모 • 서울 용산구 이태원동 34-69 일대(크라운호텔) 2,121평 부지에서 주상복합 ‘에브르’을 2025년말경 분양 예정 (시행사는 K스퀘어용산PFV(舊하나대체투자용산PFV), 시공사는 현대건설) _ 지분율 : 현대건설 49.5%, RBDK 25.0%, 코람코자산운용 19.5%, 한투부동산신탁 6.0% _ 지하4층~지상25층, 도시형생활주택 184가구, 오피스텔 10실, 근생시설 • 인천 강화군 선원면 창리 456 일대에서 분양한 '인천 강화 서희스타힐스 1단지 (조합원 취소세대)'의 1순위 청약 결과, 14가구 모집에 9가구가 청약되어 평균 경쟁률 0.64대1 기록 / 2순위까지 총 9가구가 청약되어 최종 0.64대1 기록 (시행사는 강화지역주택조합, 시공사는 서희건설) / ※ 사용승인 완료 _ 부지 16,174평, 지하2층~지상25층, 14개동, 전용면적 59‧71‧84㎡, 총 1,040가구 중 조합원 취소분 17가구(일반공급 8가구 + 특별공급 9가구).. 주차(1,352대)는 가구당 1.30대 _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59㎡(공급면적 25‧26평) 3억7,574만원~3억8,529만원, 71㎡(29‧30평) 4억3,209만원~4억4,035만원, 84㎡(34평) 4억8,954만원.. 평당 분양가는 1,447~ 1,533만원.. 계약금 10%(1차분 1,000만원 정액제) + 잔금 90% _ 발코니 확장비는 64㎡ 298.5~541만원, 84㎡ 314.7~527.5만원, 98㎡ 404.1~606.9만원, 110㎡ 472.5~853.2만원 _ 2025년 1월 10일 1순위 청약.. 2025년 2월 입주 예정 _ 인천과 강화군과 선원면의 평당 평균 시세는 각각 1,331만원, 683만원, 660만원 • 경기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 601에서 분양한 오피스텔 '판교밸리자이 3단지'의 청약 결과, 3실 모집에 총 36건이 청약되어 평균 경쟁률 12.00대1 기록 (시행사는 무궁화신탁(위탁사는 화이트코리아산업), 시공사는 GS건설) / ※ 2023년 2월 사용검사 _ 지하2층~지상14층, 오피스텔 1개동, 총 62실중 잔여 3실 분양 _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84.97㎡(전용면적 25.70평) 9억5,600만원, 84.98㎡(25.71평) 10억7,300만원 _ 2025년 1월 7일 청약.. 청약 신청금은 100만원.. 2025년 3월 입주 예정 • 세종 합강동 22-28 일대(행정중심복합도시 5-1생활권 L12블록)에서 '양우내안애 아스펜' 분양 예정 (시행사는 무궁화신탁, 시공사는 양우건설) / ※ 세종시내 3년만의 신규 분양분 _ 지하2층~지상18층, 18개동, 전용면적 84㎡ 단일평형, 총 698가구(일반공급 280가구 + 특별공급 418가구).. 게스트하우스, 펫케어센터, 드론경기장 조성.. 가구당 1.55대 주차 _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39㎡(공급면적 16평) 1억6,300만원, 59㎡(24평) 3억6,230만원~3억6,710만원, 84㎡(34평) 5억450만원~5억5,470만원, 101㎡(40평) 6억2,870만원~6억3,010만원, 117㎡(46평) 7억1,410만원~7억2,800만원.. 평당 분양가는 1,032~1,632만원.. 계약금 20%(1차분 2,000만원 정액제) + 중도금 60% + 잔금 20% _ 발코니 확장비는 84㎡ 552~1,190만원 _ 2025년 1월 21일 1순위 청약.. 2028년 3월 입주 예정.. 전매제한 1년 • 충남 천안시 서북구 두정동 393-11 일대에서 분양한 ‘천안 두정역 양우내안애 퍼스트로’의 1순위 청약 결과, 406가구 모집에 38건이 청약되어 평균 경쟁률 0.09대1 기록 / 2순위까지 총 63건이 청약되어 최종 0.16대1 기록 (시행사는 광문개발, 시공사는 양우종합건설) _ 지하2층~지상29층, 6개동, 전용면적 64·84㎡, 총 416가구(일반공급 211가구 + 특별공급 205가구) _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64㎡(공급면적 27평) 3억9,000만원, 84㎡(34평) 4억9,000만원~4억9,500만원.. 평당 분양가는 1,428~1,461만원.. 계약금 10%(1차분 1,000만원 정액제) _ 발코니 확장비는 64㎡ 1,400만원, 84㎡ 1,700~1,950만원 _ 2025년 1월 6일 1순위 청약.. 2027년 12월 입주 예정 _ 충남과 천안시와 서북구와 두정동의 평당 평균 시세는 각각 721만원, 815만원, 882만원, 869만원 • 대구 동구 신천동 481-1 일대에서 주상복합 '더 팰리스트 데시앙' 분양 예정 (시행사는 한국자산신탁, 시공사는 태영건설) _ 지하3층~지상20층, 8개동, 전용면적 100~117㎡, 총 418가구(일반공급 365가구 + 특별공급 53가구) + 오피스텔(전용면적 97·109㎡) 32실.. 가구당 1.6대 주차.. 게스트하우스, 사우나, 단지내 물놀이터 조성 _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100㎡(공급면적 38평) 8억7,870만원, 106㎡(40평) 9억2,270만원, 109㎡(41평) 9억4,670만원, 115㎡(43·44평) 9억9,020만원~10억220만원, 117㎡(45평) 10억2,680만원~10억2,880만원.. 평당 분양가는 2,282~2,303만원.. 계약금 5%(1차분 1,000만원 정액제) + 중도금 20% + 잔금 75%.. 발코니 확장비 포함 _ 2025년 1월 14일 1순위 청약.. 2025년 10월 입주 예정.. 전매제한 6개월 _ 대구와 동구와 신천동의 평당 평균 시세는 각각 1,001만원, 927만원, 996만원 • 부산 강서구 대저2동 5428-9 일대(에코델타시티 공동주택용지 31블록)에서 분양한 ‘부산 에코델타시티 대방 엘리움 리버뷰’의 1순위 청약 결과, 469가구 모집에 57건이 청약되어 평균 경쟁률 0.12대1 기록 / 2순위까지 총 140건이 청약되어 최종 0.30대1 기록 (시행사는 디아이건설, 시공사는 대방산업개발) _ 지하2층~지상10층, 11개동, 전용면적 119㎡, 총 470가구(일반공급 409가구 + 특별공급 61가구).. 스크린골프장(카카오VX), 탁구장, 크로스핏존 등 조성.. 가구당 약 2.1대 주차 _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119㎡(공급면적 43·44평) 10억8,847만원~11억9,488만원.. 평당 분양가는 2,511~2,745만원.. 분양가 상한제.. 계약금 10%(1차분 5%) _ 발코니 확장비는 119㎡ 985~1,162만원 _ 2025년 1월 9일 1순위 청약.. 2027년 10월 입주 예정.. 전매제한 1년 _ 부산과 강서구의 평당 평균 시세는 각각 1,237만원, 1,184만원 • 부산 북구 덕천동 361 일대에서 ‘한화포레나 부산덕천3차’ 분양 예정 (시행사는 덕천3구역재건축정비사업조합, 시공사는 한화) _ 지하2층~지상27층, 4개동, 전용면적 59㎡, 총 429가구(일반분양 116가구(일반공급 61가구 + 특별공급 55가구)) _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59㎡(공급면적 24평) 5억3,340만원~5억3,870만원.. 평당 분양가는 2,239~2,268만원.. 계약금 2,500만원(1차분 1,000만원 + 2차분 1,500만원) + 잔금.. 발코니 확장비 포함 _ 2025년 1월 21일 1순위 청약.. 2025년 6월 입주 예정.. 전매제한 6개월 _ 부산과 북구와 덕천동의 평당 평균 시세는 각각 1,235만원, 989만원, 834만원 • 전북 전주시 완산구 중노송동 395-3 일대에서 ‘더샵 라비온드’ 분양 예정 (시행사는 기자촌구역주택재개발정비사업조합, 시공사는 포스코이앤씨) _ 지하3층~지상25층, 28개동, 전용면적 39·59·84·101·117㎡, 총 2,226가구(일반분양 1,426가구(일반공급 836가구 + 특별공급 590가구) _ 채당 분양가는 전용면적 39㎡(공급면적 16평) 1억6,300만원, 59㎡(24평) 3억6,230만원~3억6,710만원, 84㎡(34평) 5억450만원~5억5,470만원, 101㎡(40평) 6억2,870만원~6억3,010만원, 117㎡(46평) 7억1,410만원~7억2,800만원.. 평당 분양가는 1,032~1,632만원.. 계약금 10%(1차분 1,000만원 정액제) _ 발코니 확장비는 59㎡ 2,300만원, 84㎡ 2,730만원, 101㎡ 3,110만원, 117㎡ 3,220만원 _ 2025년 1월 21일 1순위 청약.. 2028년 6월 입주 예정 _ 전북과 전주시와 완산구와 중노송동의 평당 평균 시세는 각각 676만원, 843만원, 807만원, 864만원■ 제도ㆍ정책 • 정부는 기존 1주택자가 지방 준공 후 미분양 주택(전용면적 85㎡, 취득가액 6억원 이하)을 매입할 경우, 양도세와 종부세 산정 시 1가구 1주택 특례 적용 • 서울시청은 2025년 상반기 중, 도시계획조례를 개정하여 상업지역 내 주상복합 등 주거복합건축물의 상가 비율을 연면적 20%에서 10%로 하향 조정.. 또한 일반·근린상업지역에 임대주택이나 공공기숙사를 도입할 때에는 주상복합이 아닌 주택 100% 단일 공동주택도 허용 • 울산시청은 울산 남구 삼산 쓰레기 매립장 터에 사업비 5,000억원을 투입하여, 2028년까지 3,500석 규모의 초대형 공연장 신축 계획 • 환경부는 부산 금정산을 국내 24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 예정 • 정부는 01월27일(월)을 임시공휴일로 지정 (☞ 진정 내수경제가 활성화될 것으로 믿는지?)■ 건설 및 부동산 업계 정보 • ‘서울역 북부역세권’이 강북권 최초 2천명 이상 수용 가능한 전시·국제회장을 갖춘 국제문화복합단지로 조성 계획.. 2029년 준공 목표 • 서울 도봉구 쌍문동 138-1 일대에 지상46층 규모의 공동주택 1,404가구 신축 계획 • 株이도는 서울 중구 입정동 237 일대(을지로3가역 인접)에서 프라임 오피스 '원 엑스(One X)' 신축 계획 _ 지하7층~지상33층, 연면적 51,909평(강북 최대 규모).. 설계사는 리버스킨드 • 라온건설은 인천 중구 신흥동3가 7-79에서 주상복합 ‘숭의역 라온프라이빗’ 신축 예정 _ 공동주택(전용면적 59·84㎡) 440가구, 오피스텔(전용 44㎡) 168실 _ 2022년06월경 일군토건이 착공하였으나, 2023년05월 공사 중단.. 이후 2023년12월경 두산건설로 시공사가 변경되었으나, 공사가 재개되지 못한 채 계약 해지.. 이후 2024년10월경 라온건설로 시공사가 변경되어 2024년12월 공사 재개.. 2027년07월 준공 목표 • LH공사는 경기 구리시 구리갈매역세권 B-2블록 일대 10,464평 부지(평당 1,850만원)에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임대기간 10년) 조성 계획 _ 토지비 약 1,935억원(2027년01월 토지사용 가능), 전용면적 60∼85㎡, 총 725가구(임대기간 20년의 실버스테이 300세대 이상 포함) _ 2025년03월25일 사업신청서 접수 및 4월중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 김포도시관리공사와 인하대는 경기 김포시 사우동 455-2 일대(김포 풍무역세권 도시개발구역) 27,225평 부지에 '김포메디컬캠퍼스(대학병원(700병상 규모), 보건계열 대학·대학원 등 교육시설 설립)' 조성 계획 _ 인하대측의 사업참여 선결 조건은 '토지 무상 제공 및 건축비 1,600억원 지원'.. 이후 건축비 100억원 지원으로 조건 조정 • 프런티어마루(HMG그룹 계열)는 경기 용인시 처인구 역북동 811 일대(에버라인 명지대역 인근) 제3종 일반주거지역 8,942평 부지를 연세대로부터 약 2,000억원에 매입 (매각 주관사는 삼일회계법인) • 포항시청은 경북 포항시 북구 항구동 17-12 일대(영일대 주차장) 2,078평 부지에 특급호텔 신축 관련 민간 제안 공모 진행 착수 _ 포항국제전시컨벤션센터(2026년말 준공)와 연계하여 MICE 산업 활성화 유도 • 대우건설은 부산 부산진구 전포동 668-1 일대(NC백화점 서면점 부지)에서 주상복합 신축 예정 _ 일반상업지역 5,005평, 지하8층~지상47층, 4개동, 공동주택 924가구.. 2030년 준공 목표 • 제주지역의 미분양 물량은 2,851가구.. 이중 준공후 미분양분은 1,338가구.. 지속적 증가세 (2024년11월 기준) • 2025년도 지역별 분양예정물량 @부동산인포 _ 서울 21,876가구, 인천 19,914가구, 경기 94,723가구, 강원 508가구, 충북 5,992가구, 세종 1,122가구, 대전 5,923가구, 충남 23,139가구, 대구 4,913가구, 경북 6,685가구, 울산 6,181가구, 부산 28,515가구, 경남 12,601가구, 전북 3,492가구, 광주 4,328가구, 전남 6,003가구, 제주 0가구 • CBRE코리아는 “2028년을 기점으로 임대인 우위였던 CBD권역 오피스 시장이 임차인 우위로 전환될 것”으로 전망 • 서울지역 상가부문 경매 현황 @서울경제 _ 경매건수 : 2022년 973건, 2023년 1,626건, 2024년 2,769건.. _ 평균 낙찰률 : 2022년 30.4%, 2023년 20.6%, 2024년 16.4%.. • 서울 주요 재건축단지의 상가 일괄 매각 단지 _ 서초구 래미안 원베일리 312실, 메이플 자이 59실, 강남구 개포자이 프레지던스 12실, 송파구 힐스테이트 e편한세상 문정 19실.. • 지식산업센터 경매 관련 @지지옥션 _ 경매건수 추이 : 2019년 500건, 2020년 540건, 2021년 737건, 2022년 403건, 2023년 688건, 2024년 1,594건 _ 낙찰가율 추이 : 2019년 38.6%, 2020년 43.1%, 2021년 39.2%, 2022년 45.2%, 2023년 28.9%, 2024년 24.3% • 주요 건설사별 2025년 분양 계획 @부동산R114 _ 현대건설 12,779가구, 대우건설 11,845가구, 포스코이앤씨 9,415가구, 현대엔지니어링 9,186가구, DL이앤씨 7,774가구, 롯데건설 7,248가구, GS건설 4,800가구, 계룡건설산업 4,164가구, 중흥토건 3,753가구, 금호건설 3,412가구, SK에코플랜트 2,871가구, 동부건설 2,525가구, 한화건설 1,788가구, HDC현대산업개발 1,722가구, 삼성물산 1,097가구, 코오롱글로벌 998가구.. • 2024년 9월 기준 부동산신탁사 부실자산 현황 (괄호안은 부실자산비율) _ KB부동산신탁 5,970억원(59%), 한국자산신탁 5,415억원(74%), 한국토지신탁 5,063억원(60%), 교보자산신탁 4,732억원(65%), 신한자산신탁 4,224억원(71%), 대한토지신탁 3,804억원(41%), 코람코자산신탁 3,501억원(44%), 하나자산신탁 2,945억원(57%), 우리자산신탁 2,071억원(76%), 무궁화신탁 2,029억원(58%), 코리아신탁 1,613억원(68%), 한국투자부동산신탁 1,554억원(33%), 대신자산신탁 876억원(34%), 신영부동산신탁 371억원(25%) • 신동아건설(브랜드명 파밀리에)이 서울회생법원에 법정관리 신청 _ 1977년 설립.. 2024년 기준 시공능력평가순위 58위.. 63빌딩 시공사 • 대우건설의 2023년말 부채비율과 차입금 의존도는 각각 177%, 24%.. 2024년 3분기 기준 부채비율과 차입금 의존도는 각각 196%, 32%■ 국내외 이슈 • 경제지표(2025년01월10일 기준) _ 환율(매매기준율) : USD 1,474원, EUR 1,511원, CNY 200원, JPY(100엔) 935원 _ 증시 : KOSPI 2,515, KOSPI200 334, KOSDAQ 717 DOW 41,938, NASDAQ 19,161, 중국상해 3,168, NIKKEI 39,190 ※ 연말 기준 우리나라 외환보유액 추이 @한국은행 _ 2019년 4,088억달러, 2020년 4,431억달러, 2021년 4,631억달러, 2022년 4,232억달러, 2023년 4,202억달러, 2024년 4,156억달러 • 국가별 외환보유액 현황 (2024년11월 기준) @IMF _ 중국 3조2,659억달러, 일본 1조2,390억달러, 스위스 9,251억달러, 인도 6,594억달러, 러시아 6,165억달러, 대만 5,780억달러, 사우디 4,495억달러, 홍콩 4,251억달러, 한국 4,154억달러.. • 3인 가구수가 4인 이상 가구수를 추월 @행정안전부 _ 3인 가구 : 2020년 401만가구, 2021년 400만가구, 2022년 401만가구, 2023년 403만가구, 2024년 405만가구 _ 4인 이상 가구 : 2020년 461만가구, 2021년 440만가구, 2022년 423만가구, 2023년 408만가구, 2024년 394만가구 • 2025년 서울지역 초등학교 입학 대상자는 53,956명으로 역대 최저치 기록.. 전년 59,492명 대비 9.3% 감소 @서울시교육청 • 베트남 출산율 추이 @ VN익스프레스 _ 2021년 2.11명, 2022년 2.01명, 2023년 1.96명, 2024년(E) 1.91명 / ※ 호찌민시를 포함한 주요 도시 출산율은 1.48명선 • 인터넷은행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가 생활안정자금 목적의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기존 1억원에서 10억원으로 확대 _ KB국민은행은 한도제한이 없으며, 신한·우리은행은 1억원에서 2억원으로 확대 • 현대차그룹은 자산운용사 '현대얼터너티브(지분율은 현대카드 51%, 현대커머셜 49%)' 설립.. 현대카드, 현대캐피탈, 현대커머셜, 현대차증권에 이은 5번째 금융계열사 _ 투자 재원으로 활용될 수 있는 현대자동차 이익잉여금은 95조원 규모 • 국내 편의점 점포수는 2023년말 55,580개에서 2024년말 56,500개로 증가.. 일본 56,000여개를 추월 @한국편의점협회 _ 2024년01~10월간 누적 매출액은 편의점 25.8조원, 백화점 25.4조원 ※ 현재 편의점은 동네 슈퍼와 마트를 대체하는 것이 아닌, 물류, 택배, 국제우편, 택시호출, 미아보호, 애견보험 판매 등 일상의 전 영역을 아우르는 '지역거점'으로 진화중 • 화장품 브랜드 ‘마녀공장’이 케이엘앤파트너스(PEF운용사)와 인수계약 체결.. 기업가치는 약 3,700억원 • 현대자동차그룹은 엔비디아와 전략적 제휴를 맺고 미래자동차, 로봇 등을 개발 예정 • KCC글라스와 디폰은 유리에 부착하는 투명 필름에 전류를 흘러보내, 전압에 따라 유리의 투명도를 256단계까지 조절할 수 있는 스마트 글라스 기술 개발 • 로보락의 Saros Z70(사로스 Z70)은 기계식 로봇 팔을 탑재한 로봇청소기로서, 양말, 수건, 샌들 중 최대 300g 이하의 가벼운 물건을 들어 옮길 수 있도록 제작 • LG전자의 AI홈 허브 'LG 씽큐 온'은 집안 곳곳에 설치된 센서로 말과 행동, 주변 환경을 감지하여 집안을 퇴적의 상태로 유지함은 물론, 잠자는 사람의 심박수와 호흡, 기침 등을 분석하여 온도와 습도를 자동으로 조절 가능 • 오징어게임 시즌 3이 오는 2025년06월27일 공개 예정 • 페이스북에서 최고로 인기를 끌었던 비디오들의 길이는 평균 90초 수준 @newsWhip • 신세계그룹 정용진 회장은 어머니 이명희 총괄회장의 이마트 보유 지분 전략(10%)를 2,140억원(주당 76,800원)에 인수.. 이에 정 회장의 이마트 지분율은 28.56%로 상향 • 2024년 기준 국산 차량 베스트셀러 1~4위 차량은 모두 SUV _ 1위 쏘렌토 95,040대, 2위 카니발 82,309대, 3위 싼타페 78,609대, 4위 스포티지 72,980대, 5위 그랜저 72,730대.. / ※ 세단 중심에서 확연히 SUB로 이동 추세이며, 아파트 주차장 폭도 시대 트렌드를 반영해야.. • 샤오미는 한국법인 '샤오미코리아'를 설립하고, 국내 시장 공략을 본격화 방침 _ 스마트폰, 웨어러블, TV, 로봇청소기, 보조배터리 등 5개 카테고리 제품부터 출시 예정 • 소니혼다 모빌리티가 개발한 전기차 '아필라'.. 운전보조석에서 플레이스테이션 작동 가능 ☞ 비즈니스를 위한 식사에 밥을 먹으러 가는 것이 아닌 것처럼, 골프장에 골프치러 가는 것이 아닌 것처럼.. 모든 행동에는 뚜렷한 목적성이 있어야겠지요. 그래야 그 시간이 더욱 단단해지겠지요. (※ 잘 거절하지 못하는 청탁에, 반나절이나 허비한 지난주 하루를 후회하면서..) ○ 눈요기 : 디지털다임의 커뮤니티몰 ‘FEZH(페즈)’ (at 서울 한남동 657-133) _ 지상4층에서 요가 오픈 클래스 개최
-
국토부-성남시, 분당 야탑동 '이주단지' 대체 부지 검토
성남시, 국토부에 대체부지 제안1기 신도시 재건축 이주단지 조성을 두고 국토교통부와 성남시가 분당구 야탑동 보건소 부지를 대신할 대체 부지 선정에 나선다.7일 국토부와 성남시에 따르면 성남시는 지난 3일 분당구 야탑동 보건소 부지에 지을 예정이던 1500가구 규모 이주단지를 대체할 곳으로 관내 복수의 유휴부지를 국토부에 제안했다.앞서 국토부는 1기 신도시 정비사업 이주단지로 야탑동 보건소 부지를 지정하고, 이곳에 공공 분양주택 1500가구를 짓겠다고 발표했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사업 시행자로 참여해 주택을 지어 재건축 이주 주택으로 활용하고, 이후 리모델링해 공공분양 등을 추진한다는 계획이었다.주민 의견을 수렴하지 않은 계획에 인근 주민들은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해 집단 반발에 나섰다. 해당 부지가 3만㎡에 불과하기에 면적을 감안하면 국토부의 설명과 달리 임대주택으로 전환할 가능성이 높다는 우려도 나왔다.주민 반발이 이어지자 성남시는 "사전협의 없는 일방적 발표였다"며 국토부에 이주단지 부지 취소를 요청했다. 이에 국토부는 "대체 부지를 제시하지 않을 경우 내년도 정비사업 지정 물량을 축소하겠다"고 맞서면서 갈등을 빚었다.성남시가 대체 부지로 제안한 곳은 성남시 관내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을 포함해 3∼4곳으로, 국토부가 후보지로 발표했던 곳과는 별개 부지로 전해졌다. 성남시가 대체 부지를 제안함에 따라 국토부는 부지별 건축 물량과 주택 공급 가능 시기, 사업방식 등을 추가 자료로 요청해 적합도를 따져볼 계획이다.국토부 관계자는 "분당신도시 이주 시점과 주택공급 시기가 맞아야 한다"며 "세부 건설 계획을 받아본 뒤 대체 부지를 확정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어 "후보지가 정해지면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등 후속 조처가 이뤄질 것"이라고 덧붙였다.한편 분당신도시는 1기 신도시 가운데 가장 많은 1만2055가구가 재건축 선도지구로 지정됐다. 시 정비계획에 따라 올해도 1만2000가구 규모 정비 사업지를 추가로 선정할 방침이다.
현장(상가명) | 현장소재지 | 업무내용 |
의정부녹양역씨엘59더샵 | 경기도 의정부시 가능동 | 자타가 인정하는 59층 경기북부 최고의 현장 |
안성 남광하우스토리 퍼스트시티 | 안성 남광하우스토리 퍼스트시티 | 수수료 1300만원 |
청광플러스원 아파트 | 남양주시 퇴계원리 102-8 | 아파트분양 후분양 |
초역세권 오피스텔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갈천로7번길 63-4 (신갈동) | 분양업무 |
수성 알파시티 각개팀중개사보조원 | 대구광역시 수성구 알파시티1로4길 22 (대흥동) | 홍보영업사무 |
- 상가매물
- 용지/토지
- 오피스/빌딩
-
단지내상가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염전로168번길 28 (도화동)/인천시 미추홀구 도화동 985-2번지 힐스테이트 도화 더테라스 상가
-
단지내상가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염전로168번길 28 (도화동)/인천시 미추홀구 도화동 985-2번지 힐스테이트 도화 더테라스 상가
-
단지내상가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이문로35길 21 (이문동, 래미안라그란데아파트)/단지내상가
-
근린상가 대구광역시 달서구 조암남로 85 (월성동)/DS타워 309호
-
근린상가 대구광역시 달서구 조암남로 85 (월성동)/DS타워 303호
-
근린상가 대구광역시 달서구 조암남로 85 (월성동)/DS타워 302호
-
근린상가 대구광역시 달서구 조암남로 85 (월성동)/DS타워 204호
-
근린상가 대구광역시 달서구 조암남로 85 (월성동)/DS타워 201호
-
근린상가 대구광역시 달서구 조암남로 85 (월성동)/DS타워 120-3호
-
근린상가 대구광역시 달서구 조암남로 85 (월성동)/DS타워 120-1호
-
주거지역 경기도 양주시 광사동/663
-
주거지역 경기도 양주시 덕계동/968-1
-
관리지역 충남 아산시 음봉면 삼거리 94-1/외
-
녹지지역 경기도 평택시 안중읍 안중리/196-11
-
상업지역 경기도 양주시 덕계동/968-1
-
상업지역 인천광역시 중구 운서동/3088-2
-
상업지역 경기도 양주시 덕계동/덕계동 968-1
-
상업지역 경기 김포시 구래동 6917-5
-
주거지역 경기 양주시 덕계동 968-1 서울 강동구 아리수로93나길 88 (강일동, 강동리버스트8단지)
-
기타 충남 계룡시 두마면 농소리 989번지
-
매매 경기도 김포시 김포한강10로133번길 107 (구래동)/디원시티 시그니처 지식산업센터 909호, 910호, 911호, 912호 (25% 할인 매매(전체 또는 각호실별) 합니다.)
-
매매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교육청길 60/해남오피스텔
-
매매 충남 아산시 모종남로12번길 17 (모종동) 청담프라자
-
매매 경기도 김포시 김포한강10로133번길 107/909호, 910호, 911호, 912호
-
지식산업센터 경기 고양시 덕양구 지정로 17 (지축동, 리더플렉스 블루)
-
지식산업센터 경기 고양시 덕양구 지정로 17 (지축동, 리더플렉스 블루)
-
매매 인천 남동구 고잔동 662-3 1026호
-
지식산업센터 인천 남동구 고잔동 662-3 902호
-
지식산업센터 인천 남동구 고잔동 662-3 1142호
-
매매 경기 파주시 송학1길 126-10 (야당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