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버튼열기

뉴스/칼럼

우리나라 전체 가구의 61%는 땅 소유 ..."우리집 땅은?"

작성자 : 권순원

날짜 : 2021-07-01

조회수 : 1717

0 0 프린트
자료출처 : 국토교통부

 

 

국토교통부는 작년 말 기준으로 우리나라 전체 가구 2,309만가구 중 61.2%를 차지하는 1,413만가구가 토지를 보유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1일 밝혔다. 이는 전년 1,379만가구 대비 2.4% 증가한 수치다.

 

토지소유 통계는 토지소유 현황을 파악하여 각종 토지정책 등의 기초자료로 활용되는 자료로 지난 2007년과 2013, 2018, 2019, 2020년에 이어 여섯 번째로 공표되었다.

 

통계는 소유구분, 용도지역 및 지목별로 구성된 일반현황을 비롯하여 개인·법인·비법인의 토지소유현황 등 39종으로 작성되었다.

 

토지 기본현황을 살펴보면, 개인이 소유하고 있는 토지가 75.9%46,398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법인은 11.4%6,965, 비법인은 12.7%7,754이었으며, 용도지역별로는 농림지역이 48.9%49,083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관리지역은 23.8%23,902, 녹지지역은 11.4%11,489이었으며, 주거지역은 2.4%2,405로 나타났다.

 

지목별로는 임야가 63.3%63,558, , , 과수원, 목장용지로 구성된 농경지가 19.7%19,825, 학교, 도로, 철도 등 공공용지가 10.1%10,149, 대지는 3.2%3,243로 나타났다.

 

개인소유 토지현황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우리나라 전체 5,183만 명(주민등록인구) 1,805만 명이 토지를 소유하고 있으며 지목별 소유현황은 임야 26,831(57.8%), , , 과수원, 목장용지 등 농경지가 16,032(34.6%), 대지가 2,551(5.5%) 순으로 나타났다.

 

세대별 토지소유현황은 총 2,309만 세대(주민등록세대) 61.2%1,413만 세대가 토지를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토지거래 회전율을 살펴보면, 면적기준으로 세종 2.3%, 경기 1.4%, 충남 1.3% 순으로 토지의 거래가 이루어졌고, 서울은 0.2%로 전국에서 가장 낮은 회전율을 보였다.

 

국토교통부 국가공간정보센터 임헌량 센터장은 이번 통계발표에서는 수치를 주제별, 유형별로 시각화하여 가시성을 높였으며, 앞으로도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여 통계의 활용성을 높이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토지소유현황 통계는 누구나 열람이 가능하며 국토교통부 통계누리(stat.molit.go.kr),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kr)에서 직접 확인할 수 있다.

 

댓글 0